hlod:birthDate
|
|
hlod:birthPlace
|
|
hlod:childhoodName
|
|
hlod:deathDate
|
|
hlod:detailExplanation
|
-
1855년(철종 6) 명경과에 급제해 승문원부정자로 관직생활을 시작했던 이후 순강원수봉관(順康園守奉官)·사헌부지평·사간원정언·신창현감(新昌縣監)·성균관직강·사헌부장령·돈녕부도정 등의 관직을 두루 역임하고 1870년(고종 7)에 승정원동부승지를 지냈다. 수봉관·지방관·언관으로 재직시 불의와 부정을 척결해 강직성을 발휘하였다. 특히 1868년에 올린 상소에서 경복궁 재건을 위한 대원군의 비정을 비판, 시정을 건의하였다. 이 상소는 그의 강직성과 우국애민정신의 발로이며 막혔던 언로를 연 계기가 되었다. 1873년에 올린 <계유상소 癸酉上疏>는 1871년 신미양요를 승리로 이끈 대원군이 그 위세를 몰아 만동묘(萬東廟)를 비롯한 서원의 철폐를 대거 단행하자 그 시정을 건의한 상소다. 이 상소를 계기로 대원군의 10년 집권이 무너지고 고종의 친정이 시작되었다. 이후 고종의 신임을 받아 호조참판에 제수되어 누적된 시폐를 바로잡으려 했으나, 권신들이 반발해 도리어 대원군 하야를 부자이간의 행위로 규탄하였다. 이에 <사호조참판겸진소회소 辭戶曹參判兼陳所懷疏>를 올려 민씨 일족의 옹폐를 비난했으나 상소의 내용이 과격, 방자하다는 이유로 제주도로 유배되었다. 1873년부터 3년간의 유배생활을 계기로 관직생활을 청산하고 우국애민의 위정척사의 길을 택하였다. 첫 시도로서 1876년<병자지부복궐소 丙子持斧伏闕疏>를 올려 일본과 맺은 병자수호조약을 결사 반대하였다. 이 상소로 흑산도로 유배되었으나 그 신념과 신조는 꺾이지 않았다. 유배에서 풀려난 뒤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날 때까지 약 20년 동안 침묵을 지켰다. 이 시기는 일본과의 개국 이래 임오군란·갑신정변·동학운동·청일전쟁 등 연이어 일어나 국내외 정세가 복잡했던 때이다. 특히 1881년에 신사척사운동이 일어나면서 위정척사사상이 고조되고 있을 때 그가 침묵을 지켰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그러나 일본의 침략이라는 역사적 위기상황 속에서 그의 위정척사사상은 항일투쟁의 지도이념으로 성숙하였다. 이것은 그의 위정척사사상이 고루하거나 보수적이지 않은 것은 보여준다. 또, 항일정치투쟁방법도 이제까지의 상소라는 언론 수단에 의한 개인적·평화적인 방법이 아닌 집단적·무력적인 방법으로 바뀌었다. 동시에 위정척사사상도 배외적인 국수주의로부터 민족의 자주의식을 바탕으로 한 자각된 민족주의로 심화되었다. 이러한 그의 항일구국이념은 1895년 을미사변의 발발과 단발령의 단행을 계기로 폭발하였다. 오랫만의 침묵을 깨고 <청토역복의제소 請討逆復衣制疏>를 올려 항일척사운동에 앞장섰다. 이 때 여러 해에 걸쳐 고종으로부터 호조판서·각부군선유대원(各府郡宣諭大員)·경기도관찰사 등 요직에 제수되었으나 사퇴하고 오로지 시폐의 시정과 일본을 배격할 것을 상소하였다. 당시 올린 상소는 1896년에 <선유대원명하후진회대죄소 宣諭大員命下後陳懷待罪疏>, 1898년<사의정부찬정소 辭議政府贊政疏>와 재소, <사궁내부특진관소 辭宮內府特進官疏>와 재소, 1904년<사궁내부특진관소>의 삼소·사소, <수옥헌주차 漱玉軒奏箚>, <궐외대명소 闕外待命疏>와 재소·삼소·사소 등이 있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곧바로 <청토오적소 請討五賊疏>와 재소를 올려서 조약의 무효를 국내외에 선포하고 망국조약에 참여한 박제순(朴齊純) 등 오적을 처단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위정척사운동은 집단적·무력적인 항일의병운동으로 전환하였다. 1906년 윤4월전라북도 태인에서 궐기하였다. <창의토적소 倡義討賊疏>를 올려 의거의 심정을 피력하고 궐기를 촉구하는 <포고팔도사민>을 돌리고 일본 정부에 대한 문죄서 <기일본정부 寄日本政府>를 발표하였다. 그의 우국애민의 정신과 위정척사사상은 한말의 항일의병운동과 일제강점기의 민족운동·독립운동의 지도이념으로 계승되었다. 위정척사운동에 비해 그이 학문은 큰 업적을 남기지는 못하였다. 그는 성리학에 기본을 둔 이항로의 학문을 이어받았으나 이기론(理氣論)과 같은 형이상학보다는 애국의 실천 도덕과 전통질서를 수호하는 명분론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이기론은 이항로의 심전설(心專說)을 계승했을 뿐이다. 그러나 그의 사상과 이념은 역사적 현실에 바탕을 둔 실천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구국애국 사상으로, 민족주의 사상으로 승화, 발전할 수 있었다. 여기에 위정척사사상의 역사적 역할과 의의가 있는 것이다. 최익현의 사우관계는 김기현·이항로를 스승으로 성리학을 배웠으나 후자의 영향이 절대적이었다. 학우관계는 이항로 문하에서 수학한 동문인 이준(李埈)·이박(李墣)·임규직(任圭直)·김평묵(金平默)·박경수(朴慶壽)·유중교(柳重敎) 등으로 비교적 단순한 편이었다. 저서는 ≪면암집≫ 40권, 속집 4권, 부록 4권이 있다.
|
hlod:explanation
|
-
1833~1906. 이항로의 제자로서 유교 명분론과 위정 척사론의 입장에서 흥선대원군과 고종의 실정을 소신있게 비판한 유학자.
|
hlod:familyPlace
|
|
foaf:gender
|
|
hlod:hasArtworkInfo
|
|
hlod:hasBadgeInfo
|
|
hlod:hasCareerInfo
|
|
hlod:hasEducationInfo
|
|
hlod:hasFather
|
|
hlod:hasPrisonInfo
|
|
hlod:hasRelatedEventInfo
|
|
hlod:hasWife
|
|
hlod:jaName
|
|
hlod:nickName
|
|
hlod:occurAge
|
|
hlod:personType
|
|
hlod:realName
|
|
hlod:realNameChi
|
|
hlod:registerPlace
|
|
hlod:reignStartDate
|
|
owl:sameAs
|
|
rdfs:seeAlso
|
|
hlod:tdContents
|
|
hlod:tdHeadCopy
|
-
위정척사론을 펼친 조선의 문신, 74세에 의병을 일으키다
|
hlod:tdHistoricalMaterial
|
|
hlod:tdIndex
|
|
hlod:tdMultimedia
|
|
hlod:tdRelatedInfo
|
|
hlod:titleKor
|
|
RDF:typ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