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ed Data Resources View

  • Linked Data Text Browser
  • Datasets
  • Resources
검색
view MetaData view Dataset Statistics [This page as RDF]
인명 : 인현왕후
Property, Value
Property (29) Value (38)
hlod:birthDate
  • 1667년
hlod:deathDate
  • 1701년 8월 14일
hlod:deathPlace
  • 창경궁(昌慶宮) 경춘전(景春殿)
hlod:detailExplanation
  • 본관은 여흥(驪興). 아버지는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민유중(閔維重)이며, 어머니는 은진송씨(恩津宋氏)로 송준길(宋浚吉)의 딸이다. 1681년(숙종 7) 가례(嘉禮)를 올리고 숙종의 계비가 되었다. 예의가 바르고 덕성이 높아 국모로서 만백성의 추앙을 받았으나, 왕자를 낳지 못하여 왕의 총애를 잃게 되었다. 특히, 장소의(張昭儀)에게서 왕자 윤(昀: 경종)이 출생하자, 숙종의 총애는 장소의에게 쏠리게 되었다. 1689년에 숙종이 왕자 윤을 원자로 봉하고 세자로 책봉하려 하자, 송시열(宋時烈) 등 노론파 인사들이 소를 올려 이에 반대함으로써 숙종과 심하게 대립하였다. 숙종은 이들을 면직, 사사시키고, 이현기(李玄紀)·남치훈(南致薰) 등 남인들을 등용하는 이른바 기사환국이 일어났으며, 지위가 오른 희빈 장씨(禧嬪張氏)의 간계로 폐서인이 되어 안국동 본댁(本宅 : 感古堂)에서 지내게 되었다. 그 뒤 숙종이 폐비에 대한 처사를 후회하고 있던 중에 1694년 소론파의 김춘택(金春澤)·한중혁(韓重爀) 등이 폐비복위운동을 일으키자, 이를 저해하려는 남인 민암(閔黯)·김덕원(金德遠)·권대운(權大運) 등을 유배, 사사시키는 갑술옥사를 거쳐 다시 복위되었다. 그 뒤 덕을 베풀고 희빈 장씨와 화기(和氣)를 도모하면서 살았으나, 원인모를 질병으로 1701년에 35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하였다. 한 궁녀가 그를 주인공으로 하여 쓴 소설 『인현왕후전』이 전한다. 시호는 효경숙성장순의열정목인현왕후(孝敬淑聖莊純懿烈貞穆仁顯王后)이고, 능호는 명릉(明陵)으로 경기도 고양시 신도읍 용두리 서오릉(西五陵) 묘역내에 있다.
hlod:explanation
  • 인현왕후(仁顯王后)는 1681년(숙종 7)에 가례(嘉禮)를 올리고 숙종의 계비가 되었다. 그러나 왕자를 낳지 못했고, 대신 소의(昭儀) 장씨(張氏)에게서 왕자 윤(昀)이 출생하면서 숙종과 사이가 멀어졌다. 1689년(숙종 15)에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폐서인되어 안국동 본댁(本宅)에서 지냈다. 그리고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甲戌換局)을 거쳐 복위되었지만, 1701년(숙종 27)에 35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hlod:familyPlace
  • 여흥(驪興)
foaf:gender
hlod:hasBrother
hlod:hasContentsInfo
hlod:hasFather
hlod:hasGrandFather
  • 이광훈
hlod:hasGrandMother
  • 연안_이씨
hlod:hasGreatGrandFather
  • 민기
hlod:hasMaternalGrandFather
hlod:hasMother
  • 은진_송씨
hlod:hasRelatedEventInfo
hlod:hasRelatedRelicInfo
hlod:livingPlace
  • 한성(漢城)
hlod:occurAge
  • 조선
hlod:occurDynasty
  • 숙종
hlod:occurPlace
  • 한성(漢城)
hlod:personType
  • 왕족
hlod:posthumousName
  • 효경숙성장순의열정목인현왕후(孝敬淑聖莊純懿烈貞穆仁顯王后)
hlod:realName
  • 인현왕후(仁顯王后)
hlod:realNameChi
  • 仁顯王后
hlod:reignStartDate
  • 미상
rdfs:seeAlso
hlod:titleKor
  • 인현왕후
RDF: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