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ed Data Resources View

  • Linked Data Text Browser
  • Datasets
  • Resources
검색
view MetaData view Dataset Statistics [This page as RDF]
인명 : 이영주
Property, Value
Property (27) Value (61)
hlod:birthDate
  • 미상
  • 미상
hlod:deathDate
  • 미상
  • 미상
hlod:detailExplanation
  • 응공(應公)의 아들이다. 처음에 중이 되었으나 환속하여 관성현령(管城縣令)이 되었다. 충렬왕의 사랑을 받아 내원승(內園丞)을 거쳐 낭장이 되었다. 1282년(충렬왕 8)에는 장군으로 여러 주현(州縣)의 관리의 부정유무를 규찰하였으며, 1285년 충청도안집사(忠淸道安集使)로 있을 때 미색(美色)을 뽑아 바치고 백성의 재물을 강탈하는 등 행패가 심하였다. 1286년 충청도의 탈탈화손(脫脫禾孫 : 元代 各路에 설치되었던 驛站統制官으로 驛站吏의 비위를 감시한 직)으로 있을 때 영월현령 이순(李恂)과 함께 횡포가 심하였기 때문에 강윤명(康允明)의 난을 유발하였다. 1298년 군부판서 응양군상장군(軍簿判書鷹揚軍上將軍)이 된 뒤에도 계속 탐학과 가렴주구로 토지를 빼앗는 등 비행이 많아서 파직되었다. 1299년에는 중 일영(日英)의 무고로 모반하였다고 몰려 한희유(韓希愈)와 함께 해도(海島)로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났으나, 한희유·유비(柳庇) 등과 같이 원나라에 잡혀 갔다가 이듬해에 돌아왔다. 1300년에 밀직부사 군부판서(密直副使軍簿判書)가 되었으며, 이해 겨울 하정사(賀正使)로 원나라에 다녀왔다.
hlod:explanation
  • 고려 후기의 폐신(嬖臣). 응공(應公)의 아들. 처음에 중이 되었으나 환속하여 관성현령(管城縣令)이 되었음.
  • 원간섭기의 무신 관료
foaf:gender
hlod:hasCareerInfo
hlod:hasExternalLink
hlod:hasFather
  • 이응공(李應公)
  • 이응공
hlod:hasFatherInLow
  • 충렬왕
hlod:hasOtherRelation
hlod:hasPrisonInfo
hlod:hasRelatedEventInfo
hlod:hasRelatedPerson
hlod:hasRelative
  • 충렬왕(忠烈王)
hlod:hasSourceInfo
hlod:nationalPlace
  • 고려
hlod:occurAge
  • 고려
hlod:occurDynasty
  • 충렬왕
hlod:personType
  • 정치/행정가
hlod:realName
  • 이영주
  • 이영주(李英柱)
hlod:realNameChi
  • 李英柱
hlod:reignStartDate
  • 미상
hlod:relatedEvent
hlod:thesaurusData
hlod:titleChi
  • 李英柱
hlod:titleKor
  • 이영주
RDF: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