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ed Data Resources View

  • Linked Data Text Browser
  • Datasets
  • Resources
검색
view MetaData view Dataset Statistics [This page as RDF]
유물 : 창경궁
Property, Value
Property (32) Value (48)
hlod:anotherNameEng
  • Changgyeonggung
hlod:beforeNameChi
  • 東闕
hlod:beforeNameKor
  • 동궐
hlod:culturalAppointDate
  • 미상
hlod:culturalCode
  • 제123호
hlod:culturalInfo
  •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
hlod:culturalType
  • 사적
hlod:currentAddress
  • 서울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hlod:explanation
  • 창경궁은 성종 14년(1483) 당시 생존해 있던 정희왕후(세조 비), 안순왕후(예종 비), 소혜왕후(덕종 비)의 거처로 지은 궁이다. 창경궁은 수강궁터(태종이 퇴임 후 거처하기 위해 지었던 궁)에 창건하였는데 그 당시의 전각은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고 광해군 8년(1616)에 재건되었다. 그러나 인조반정(1623)과 인조2년(1624) 이괄의 난으로 저승전,통명전,양화당등이 소실되었고 그 뒤로도 몇차례의 화재로 인해 많은 전각이 불타 없어졌다. 1909년(순종 3) 일제는 궁 안의 전각들을 헐어버리고 동물원과 식물원을 하고 1911년에는 창경궁을 창경원으로 격하시켰다. 또 창경궁과 종묘를 잇는 산맥을 절단하여 도로를 설치하였으며, 궁 안에 일본인들이 좋아하는 벚꽃을 수천 그루나 심어놓고 밤 벚꽃놀이를 시작하였다.이후에도 오랫동안 관광시설로 이용되다가 1980년대에 '창경궁 복원 계획'을 세워 1983년 7월 1일부터 복원공사를 위하여 일반공개를 중단하였고, 그해 12월 30일에는 원래의 명칭인 창경궁으로 환원하였다
hlod:hasEndAge
  • 조선
hlod:hasEndDate
  • 1484년 9월
hlod:hasEndDynasty
  • 성종
hlod:hasExternalLink
hlod:hasHistoryInfo
hlod:hasLowRelic
hlod:hasRelatedPersonInfo
hlod:hasRelatedRelicInfo
hlod:hasStartAge
  • 조선
hlod:hasStartDate
  • 1483년 2월
hlod:hasStartDynasty
  • 성종
hlod:homepageInfo
hlod:koreanHistoryCategory
  • 유적지>궁지
hlod:ownedName
  • 문화재청
hlod:ownedUrl
  • www.cga.go.kr
rdfs:seeAlso
hlod:sizeInfo
  • 216,774㎡
hlod:thenLocation
  • 수강궁터
hlod:titleChi
  • 昌慶宮
hlod:titleEng
  • Changgyeong Palace
hlod:titleKor
  • 창경궁
RDF:type
hlod:webSite